건국대 수의대 연구팀, 반려견 척수 질병 정밀 진단 기술 개발
건국대 수의대 연구팀, 반려견 척수 질병 정밀 진단 기술 개발
  • 문채영
  • 승인 2017.05.11 13: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영상진단의학 연구팀이 확산텐서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DTI)을 이용해 반려동물의 척수 병변을 정밀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했다. 

기존의 수의학에서 DTI는 분석기술과 판독 능력의 한계로 분획 이등방성(fractional anisotrophy)과 평균 확산계수(mean diffusivity)를 평가하는 것에 그쳤다. 

건국대 수의과대학 수의영상진단학 엄기동 교수와 윤학영 박사, 의학전문대학원 방사선 및 영상진단의학 문원진 교수 연구팀은 3T MRI와 정상 비글견 10마리를 이용해 종축 확산성, 횡축 확산성, 평균 확산성, 기하학 지수들을 포함한 척수의 다양한 DTI 파라미터들을 분석하는 것으로 척수 병변을 기존보다 더욱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했다. 

건국대 연구팀은 먼저 10마리의 정상 비글견의 척수에서 3T MRI를 이용하여 요척수 영상을 획득했고 획득한 영상에서 백질의 각 섬유단과 회백질의 세부 구역에서 고급 분석 기술을 통해 다양한 DTI 파라미터들을 정밀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척수 전체를 흥미영역으로 설정한 정량분석과 세부 구역으로 나눠 분석한 것에서 각각의 DTI 파라미터들의 의미 있는 차이를 재현성 있게 확인할 수 있었다. 

건국대 연구팀의 연구 성과(논문 제목: Diffusion tensor imaging of white and grey matter within the spinal cord of normal Beagle dogs: Sub-regional differences of the various diffusion parameters)는 수의학 분야 영국 국제학술지 ‘The Veterinary Journal’에 2016년 9월 게재됐으며 논문 제1 저자인 윤학영 박사는 최근 최고의 논문을 게재한 저자에게 수여하는 ‘Andrew Higgins Prize’를 수상했다. 이 상은 학위 수여 후 5년 내의 젊은 연구자에게 수여된다. 

윤 박사의 후속 연구(논문 제목: Characterization of chronic axonal degeneration using diffusion tensor imaging in canine spinal cord injury: A quantitative analysis of DTI parameters according to histopathological differences)도 최근 국제 학술지 ‘Journal of neurotrauma’에 발표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07238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 70길 15-1 RA542 (여의도동14-9, 극동 VIP빌딩 5층) 월간인물
  • 대표전화 : 02-2038-4470
  • 팩스 : 070-8260-0200
  • 청소년보호책임자 : 문채영
  • 법인명 : 주식회사 월간인물
  • 대표자 : 박성래
  • 제호 : 월간인물
  • 사업자등록번호 : 227-08-61739
  • 등록번호 : 서울 아 03717
  • 등록일 : 2015년 04월 30일
  • 발행일 : 2015년 04월 14일
  • 발행인 : 박성래
  • 편집인 : 박성래, 남윤실
  • 월간인물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월간인물. All rights reserved.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박성래 02-2038-4470 psr@monthlypeople.com
우수콘텐츠 우수콘텐츠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